카테고리 없음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Doctorcall 2025. 7. 20. 23:28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Gemini CLI 꿀팁 정리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요즘 개발자들 사이에서 Gemini CLI를 사용하는 분들이 꽤 많아졌죠? 구글의 강력한 AI 모델을 터미널에서 바로 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자동화나 반복 작업에 정말 유용한데요, 대부분은 그냥 기본 설정만으로 간단히 사용하는 데 그치곤 하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좀 더 깊이 있게 Gemini CLI를 다룰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단순한 명령어 입력이 아니라, 모델 설정, 자동 실행, 디버깅 등 다양한 옵션들을 활용해서 더 똑똑하게 Gemini CLI를 쓰는 법이에요.

 

 

Gemini CLI 설치 방법

잼미니 추론모델 1000전건 무료라니 완전 해제스러워서 안쓸 이유가 없는거 같습니다. 

구글에 노드js라고 검색을 해서 LTS 선택후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것을 선택한 다음다운로드를 받아 주시면 됩니다.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이렇게 Nodejs를 설치하면 npm이라는게 설치가 되는데, 윈도우 검색창에 powershell을 입력해서 실행해 주세요.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Powershell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검정색 창이 나타납니다. 

 npm install -g @google/gemini-cli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설치하다보니 버전을 업그레이드 하라는 메시지가 나오네요.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npm install -g npm@11.4.2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다시한번 gemini-cli를 설치합니다.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gemini를 입력하면 바로 재미나이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마지막으로 구글 로그인 하면 끝입니다.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로그인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안녕하세요" 라고 입력을 해 보았는데요. 잘 대답을 하네요. 

터미널 Gemini CLI 100% 사용 방법: 모델 선택에서 디버깅까지

 

 

1. 도움말부터 살펴보기: --help는 언제나 정답

처음 CLI 도구를 접할 때 제일 먼저 해볼 건 항상 --help 옵션이에요.

gemini --help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사용할 수 있는 옵션 목록이 쫙 뜨는데요, 대표적인 것들만 추려보면 이래요:

옵션 설명
-m, --model 사용할 Gemini 모델 지정 (예: gemini-2.5-pro, gemini-1.5-flash)
-p, --prompt 단일 프롬프트 입력 후 바로 결과 출력
-d, --debug 실행 로그 확인용 디버깅 모드
-y, --yolo 모든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 (확인 생략)
--sandbox 시스템과 격리된 안전한 환경에서 실행
--show_memory_usage 실행 중 메모리 사용량 표시
--telemetry 사용 데이터 Google에 전송 (선택 가능)
 
 

 

2. -m 모델 선택: 상황에 맞는 AI 쓰기

기본적으로는 gemini-2.5-pro 모델이 사용되지만, 응답 속도가 더 중요한 작업이라면 gemini-1.5-flash 모델을 직접 선택할 수 있어요.

gemini -m "gemini-1.5-flash"

이건 예를 들어 빠르게 결과만 받고 싶은 자동화 작업이나 반복 테스트에 좋습니다.
다만, 무료 계정은 모델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어서, 필요하면 유료 구독을 고려해볼 수도 있어요.

 

3. -p 옵션: 한 줄 명령어에 바로 응답!

간단한 질문 한 번 하고 결과만 빠르게 보고 싶을 땐 -p 옵션을 쓰면 정말 편해요.

gemini -p "myhost.com에 GET 요청을 보내는 curl 명령어 알려줘"

이렇게 하면 대화형 모드 없이 바로 답변만 출력해줘요. 반복되는 명령어 테스트나 스크립트 작업에 특히 유용하죠. 다만 맥락을 이어서 대화하는 건 안 됩니다.

 

4. -d 디버그 옵션: AI가 무슨 생각하는지 엿보기

때로는 “왜 이런 결과가 나왔지?” 싶을 때가 있잖아요? 그럴 땐 -d 옵션을 사용해서 CLI 내부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로그를 확인할 수 있어요.

gemini -d -p "리눅스에서 모든 폴더의 파일을 한곳으로 모으는 명령어 알려줘"

디버깅 모드에서는 이런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어요:

  • 현재 작업 디렉토리
  • 내부에서 구성된 프롬프트 내용
  • 어떤 모델을 호출했는지
  • GEMINI.md 파일 유무 등

실제로 AI가 어떤 문맥을 받아들였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오작동 이유 추적에 유용해요.

 

5. -y YOLO 모드: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실행!

일일이 "진짜 이거 실행할까요?" 같은 확인을 건너뛰고 싶다면 --yolo 옵션을 써보세요.

gemini -y -p "현재 폴더에 README.md 파일을 만들어줘"
 

이 모드는 자동화 작업이나 실험할 때 편리하지만, 중요한 파일을 덮어쓰거나 삭제할 수 있으니 조심해서 써야 해요.

 

6. 그 외에 알아두면 좋은 부가 기능들

  • --sandbox
    로컬 시스템과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해서 안전하게 실험할 수 있어요. 테스트 코드 돌릴 때 유용합니다.
  • --show_memory_usage
    실행 중 메모리 사용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에요.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 유용해요.
  • --telemetry
    이건 말 그대로 사용 데이터를 구글에 보내는 옵션이에요. 보내기 싫으면 비활성화하면 됩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Gemini CLI의 실행 옵션들에 대해 정리해봤는데요, 생각보다 꽤 많은 설정이 가능하죠? 이런 옵션들을 잘 조합해서 쓰면 단순한 질문 응답뿐 아니라 개발 업무 자동화, 테스트, 문서 생성 등 다양한 작업을 훨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요.

다음 편에서는 .env 파일, GEMINI.md, settings.json을 활용해서 환경을 좀 더 정교하게 설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CLI를 제대로 활용하고 싶은 분이라면 꼭 체크해보세요!

 

 

Gemini CLI 설치 영상 바로보기